[뉴스프리존=전성남선임기자]6.13 지방선거에서 기초자치단체장, 광역·기초의회 의원 선거에 나설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3월 2일부터 광역·기초의원과 기초지방자치단체장 예비후보자 등록 신청을 받는다. 국회는 공직선거법 개정을 통해 광역의원 선거구와 의원 정수 등을 선거일 180일 전인 지난해 12월 13일까지 정해야 했지만 아직도 마무리하지 못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열기에 묻혀 잠시 가라앉았던 선거 분위기가 다시 달아오르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오는 2일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회 의원 예비후보자 등록 신청을 받는다. 그러나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방남을 둘러싸고 여야가 첨예한 대립을 이어가는 만큼 본회의 개최 자체가 불투명하다. 본회의가 개최되더라도 법안이 본회의에 상정되기까지는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다.
선거에 출마하려는 공무원들은 다음 달 15일까지 공직을 정리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 주와 다음 주를 전후로 거취가 정리될 전망이다. 청와대·광역지자체에서 이름이 오르내리는 인사들의 거취 문제도 조만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28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는 예비후보 등록 전에 법안을 처리할 마지막 기회다.
광역자치단체장 예비후보 등록은 지난 13일부터 시작된 상황이며 이번주가 지나 예비후보들의 윤곽이 드러나면 지방선거 열기는 후끈 달아오를 전망이다. 여야는 저마다 공천관리 기구를 설치하는 등 선거체제로 발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개헌·정개특위 위원장인 김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25일 “더불어민주당은 광역의원 정수 증가분을 26석, 한국당은 17석을 주장하고 있다”며 “최근 21석이라는 중재안을 내놨지만 여야가 회의도 열지 않았다. 양당 지도부와 협상 책임자의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선거구 획정이 안 될 경우 우선 기존 선거구 기준으로 예비후보자 등록을 받고 선거구 변경 이후에는 예비후보자에게 출마 지역을 변경하도록 할 계획이다. 여권에는 후보가 넘쳐나고 야권은 인물난을 겪는 양극화 현상은 기초단체장 선거 역시 예외가 아닌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