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전성남 선임기자]서울시의원들이 “서울시 산하기관 채용 비리 근절”을 촉구하며 “박원순 서울시장을 겨냥 한 것이 아닌 인사 적폐 대상에서 서울시가 예외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박진형, 성중기, 김용석 시의원은 기자 회견을 통해 이 같이 밝히면서 “박원순 시장 취임 후 서울시-산하기관에서 심각한 채용비리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서울시는 시정적폐를 청산하고 시민의 혈세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서울시 감사위원회가 관련 기관을 수사기관에 고발 할 것‘을 요구했다.
시의원들이 제시한 서울시-산하기관 채용 비리 제기 내용은 서울혁신센터 센터장 선출에 공개채용 않고 의결정족수 미달한 이사회에서 채용 의결 논란, 서울혁신센터 책임연구원 등 응모기간 마감 전 채용 논란,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직원의 불공정 채용비리 의혹, 서울시 거버넌스 총괄코디네이터(계약직공무원)의 자격요건 미달 채용 논란 이다.
박진형 시의원은 “저희 시의원들이 이런 내용을 이 시점에서 굳이 밝히는 것을 두고 의문과 의혹을 제기하시는데 그 어떤 정치적 상황이나 배경도 없고 채용비리는 반드시 뿌리 뽑혀야 할 불공정이고 적폐”라며“이번 조치는 적폐청산이라는 시대정신인 촛불정신을 실현하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박 시의원은 “사회가 분노하는 불공한 인사가 제대로 작동 할 수 있게 하라는 시의원들의 목소리를 빌미로 특정인 공격내지는 흠집 내기 등으로 몰라가서는 절대 안 된다”면서“올바른 목소리를 통해 잘못 된 현실 상황을 제대로 바로잡는 게 인사 적폐 청산 의참여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거듭 일부 오해 소지에 대해 단호하게 잘랐다.
성중기 시의원은 “규정무시, 짜고 치는 인사, 무늬만 공개채용 등 시민께 알리기조차 부끄러운 채용비리 의혹이 한 두건이 아니다”라며“그러나 감사위원회가 ‘채용과정에 대한 법률검토 및 적의조치’를 처분 요구하였으나, 서울시는 법률검토도 하고 있지 않다. 무늬만 박원순법, 쇼가 아니라면 감사위원회에 고발 지시를 하라”고 재촉했다.
김용석 시의원은 “감사위원회 조사에서만 드러난 것이 이 정도다. 더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시청 주변에서 박원순 시장의 역점 사업을 수행한다고 알려지는 기관들에서 채용·인사비리 의혹이 터졌다”며 “박 시장이 불공정과 비리를 덮는 시장이 아니라면 시 감사위원회에 고발 지시를 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이와 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이미 문제가 된 혁신센터 서울시 민간 수탁 업체에 대해서는 계약을 해지해 신규 업체를 선정했다”며“다만 이 와중에 문제가 된 민간 업체의 센터장이 신규 업체 센터장 선출 시 까지 임시로 센터장을 유지 할 것”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문제의 이 센터장이 9일 신규 민간 수탁 업체 비상임 감사라는 제보를 받고 문제 여부를 따져 보았으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며“새로운 센터장 선출 시 까지 센터장 공백을 채우겠다는 민간 업체의 내부 인사 문제까지 관여 할 여지가 없어 더 이상 뭐라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의원들이 제기한 문제에 대해 감사 관계자는 “이러한 사안에 대해 시장님에게 보고를 한 것으로 안다”면서“당시 시장님이 다시 이런 일이 발생 하지 않도록 주의하라는 당부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현재 서울시 5급 이상 개방형 인사는 55명에서 56명 정도이며 시 재직 5급 공무원은 1000명으로 년 단위로 4급 승진자는 적게는 10명에서 많게는 20명에서 30명 수준으로 집계되고 있다.
시 공무원 자살은 지난해 7명, 올해는 1명으로 자살 이유로는 업무 과중에 따른 스트레스가 주요 한 원인 등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