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계』 중 제22계의 “약한 적은 포위한다. 그러나 성급하게 멀리까지 추격하는 것은 불리하다”는 것이다. 그 뜻을 좀 더 음미해 보면 이렇다. 약소한 적에 대해서는 포위해 들어가면서 섬멸해야 한다. 이리저리 흩어진 얼마 안 되는 적은 그 세력이 보잘 것, 없지만 행동이 자유스럽기 때문에 섣부른 속임수로는 막기 힘들다. 따라서 성급하게 말리 추격하는 것은 불리하다. 사방으로 포위하여 물셀 틈 없는 그물을 쳐서 단숨에 섬멸해야 옳다.『36계』에서는 이 계략을 ‘착적관문’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문을 닫아걸고 적을 잡아라.’ ..
이정랑 중국고전 평론가 [뉴스프리존] ‘손자병법’의 ‘군쟁편(軍爭篇)’에 나오는 ‘용병 8원칙’의 하나다. ‘후한서’ ‘황보숭전(皇甫崇傳)’..
[뉴스프리존] 대체로 포위 공격은 적의 병력보다 아군의 병력이 배 이상일 때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심지어 손자는 “열 배면 포위하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럴진대 적보다 적은 병력으로 포위하여 적을 섬멸할 수 있다면 그것은 창조적인 ..
‘사기’의 ‘손자오기열전’을 보면 전국시대 제나라가 위나라를 포위하여 조나라를 구한 사실이 나온다. 이것이 ‘위위구조’라는 고사성어의 출전이다. 그 기본 사상은 반드시 구원하러 나올 대상을 포위 공격함으로써 그 구원하러 온 적을 섬멸하며, 반드시 후퇴할 곳을 공격하여 후퇴하는 적을 섬멸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익을 좇고 손해를 피하면서 기동성 있게 적을 섬멸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위가 조를 치니 조의 형세가 위급해졌다. 조는 제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제의 위왕은 ..
‘손자병법’ ‘군쟁편’에서 제기한 ‘용병 8원칙’의 하나다. 이 계략의 기본 요구 사항은 이미 포위한 적에 대해서는 일부러 한 군데 정도 구멍을 마련해 놓고 그곳에다 매복을 설치하라는 것이다. 고대 전투에서는 성을 포위하는 상황이 무척 많았다. 성을 공격하는 쪽은 성을 지키는 군민들의 심리를 잘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포위를 당한 군인들이 성이 함락당한 후의 끔찍한 결과를 예상하여 성과 생사를 같이하겠다고 결심하면 함락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
이정랑 중국고전 평론가 [뉴스프리존]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 공군은 미사일 하나로 유도탄을 장착하고 있는 현대화된 영국 구축함을 침몰시켰다. 서방 군사계에서는 이 사건을 해전의 전통적인 전법에 도전장을 던진 것으로 평가하고, 아울러 해전 전술의 변혁을 가져올 것이라, 전망했다. 일부 군사 전문가들은 이에 근거하여 “현대 해전은 일종의 ‘숨바꼭질 놀이’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여기서 말하는 ‘숨바꼭질’은 적은 병력과 불규칙한 전술로 ..
이정랑 중국고전 평론가 [뉴스프리존] 용병은 적을 속이는 ‘궤도’다. 그런 까닭에 능력이 있으면서도 능력이 없는 것처럼 보이고, 쓸 수 있으면서도 쓸 수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가까운 곳을 노리고 있으면서 먼 곳에 뜻이 있는 것처럼 보이고, 먼 곳을 노리면서 가까운 곳에 뜻이 있는 것처럼 꾸민다. 적에게 이익을 줄 것처럼 유인해 끌어내고, 적을 혼란시켜 놓고 공격한다. 적의 병력이 건실하면 내 쪽에서도 태세를 정돈하여 대비하고, 적이 강하면 자중하면서 정면충돌을 피한다. 적을 화나게 만들어 어지..
이정랑 중국고전 평론가 [뉴스프리존]이 책략은 적이 혼란한 상태를 틈타 적을 공격, 바라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손자병법’ ‘계편’에서 제기하고 있는 ‘궤도 12법’의 하나다. ‘난(亂)’이란 먼저 적진의 혼란, 즉 부대의 무절제를 가리킨다. 그리고 작전계획의 혼선, 즉 상부 집단 내부에 혼선이 일어나 사령관이 결심을 못 내리는 상황을 가리킨다. 이 두 가지는 서로 연결되어 전자는 흔히 후자의 결과로 나타나며, 후자는 전자의..
삼국지에도 등장하는 유명한 의사로 한국에서도 추앙받고 있다. 화타(華佗-145~208)는 자가 원화(元化)이며 본명은 부(敷)다. 그는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다. 화타(華佗-145~208),건안 삼신의(三神醫)로 중국을 대표하는 의술의 大聖(사진출처=나무위키) 실상 화타는 전업 의원이 아니었다고 한다. 정사 삼국지의 화타전에 그는 서주의 유명 인사였으며 여러 경전에 통달한 유식한 유생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양성(養性)의 방법에 밝았으므로, 그 당시 사람들은 화타의 나이가 백 세 가까이 되었지만,..
이정랑 (중국고전 평론가) 민간설화나 괴담을 주로 모아놓은 책인 ‘요재지이(聊齋志異)’에 이런 우화가 나온다. 목동 두 명이 깊은 산 속 이리 굴에 들어갔다가 새끼 이리 두 마리를 발견한다. 그들은 각자 한 마리씩 안고 약 열 걸음 떨어진 큰 나무 위로 올라갔다. 그 순간 어미 이리가 돌아와 새끼들을 찾았다. 한 목동이 새끼 이리의 귀를 당기며 장난을 치자 이 새끼가 죽는다고 울어대기 시작했다. 어미는 새끼의 울움 소리가 들리는 쪽으로 황급히 달려가 나무 아래에서 울부짖으며 둥지를 마구 할퀴어댔다..
밝을 때 잔도를 수리하는 척하고 어두울 때에 진창을 건넌다. 이 계책은 정면공격을 하는 척하거나 움직이는 척하는 양공(陽攻) 또는 이른바 양동(陽動)으로 적을 현혹시켜 공격노선과 돌파 지점을 위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만 작전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이 말은 『사기』 ‘회음후열전’과 ‘자치통감’ ‘한기(漢紀)’의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진(秦)나라가 막 무너지자 항우(項羽)는 파(巴)‧촉(蜀)과 한중(漢中-지금의 산서성 서남 산지) 등의 세 곳의 군을 ..
천리마는 늘 있지만, 명마(名馬)를 알아보는 안목은 늘 있는 것이 아니다. 유비(劉備)는 현명한 군주였고 제갈량(諸葛亮)은 현명한 재상이었다. 이 군주와 재상은 중국 민족의 문화적인 이상으로서 의심할 여지 없이 영원한 가치와 매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이 현명한 군주와 재상이 왜 전국을 통일하고 한나라를 계승하지 못했는지는 생각해볼 만한 문제다. 후세 사람들도 그 점이 안타까워 탄식을 감추지 못했다. 두보(杜甫)는 자신의 시에서 “출병이 늦어 몸이 먼저 죽었고, 늘 영웅들을 부렸으나 옷깃 흥건히 눈물 적셨네.&rd..
그는 죽어서 중국의 관료문화에 管仲이 남기지 못한 直言의 숭고한 정신을 남겼다. 안영(晏嬰)은 전국시대 제나라의 유명한 재상이다. 소박하고 겸손했던 그는 고기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첩에게 비단옷을 입히지 않았다. 정치에서는 사려 깊고 과단성이 있었으며, 정책이 분명하여 백성들이 쉽게 따를 수 있었다. 게다가 학문이 깊고 언변도 거침이 없었던 그는 세상의 추이에 밝아 시대 조류에 순응할 줄 알았다. 영공(靈公). 장공(莊公), 경공(景公) 세 군주를 연이어 보좌하여 제나라의 전성기를 이뤘으니, 그는 실로 진정한 재상의 재목이었다..
허한 것을 허하게 보인다. 이 말은 ‘초려경략‧권6’ ‘허실’의 다음과 같은 대목에서 나온다. 허실은 나한테 달려있음으로 적의 오판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허점이 있으면서도 일부러 튼튼한 것처럼 보이고, 튼튼하면서도 일부러 허점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때로는 허점이 있는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어 적으로 하여 튼튼한 것이 아닌가 의심하게 만든다. 또 튼튼한 모습을 그대로 튼튼하게 보임으로써 적으로 하여 내 쪽에 혹 허점이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게 만든다. ‘허..
‘손자병법’ ‘형편’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예전에 용병을 잘한다고 하면, 먼저 적이 나를 이길 수 없도록 준비를 하고 내가 적을 이길 수 있는 때를 기다리는 것이었다. 적이 나를 이기지 못하게 하는 것은 나 자신에게 달려있고, 내가 적을 이기는 것은 적에게 달려있다. 따라서 용병을 잘하는 자는 적이 나를 이기지 못하게 할 수 있으나, 내가 반드시 이길 수 있도록 적을 그렇게 만들 수는 없다. 그래서 이기는 것을 미리 알 수는 있으나 이길 수 있게 만들 수는 없다고 말하..
장한가(長恨歌)를 비롯한 작품의 수만 무려 3,840여 편. 백거이(白居易-772~846)는 중국 당(唐)나라, 출신으로 문학 창작을 삶의 보람으로 여겼다. 그가 지은 작품의 수는 대략 3,840편이라고 하는데, 문학 작가의 작품의 수가 크게, 증가한 중당시대라 하더라도 이같이 많은 작품을 창작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더구나 그의 작품은 형식이 다양하여 시가에서부터 산문작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문학 형식을 망라했다. 백거이는 문학으로써 정치이념을 표현하고 독자의 감정에 호소하여 실제 행동에 옮기도록 하는 것을 문학 활..
중국 당나라의 문인 한유(韓愈)/이미지 출처:나무위키 당나라의 문인 한유(韓愈)는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 ‘논회서사의상(論淮西事宜狀)’에서 이소(李愬)가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치청(淄靑)‧항기(恒冀) 지방의 관리들이 오원제를 구원할 생각을 갖고 있었으나 겁 많고 나약한 자들이었기 때문에 그저 ‘허장성세’했을 뿐이라고 쓰고 있다. 이것이 ‘큰 소리로 떠벌인다.’는 뜻의 ‘허장성세’가 직접 거론된 대목이다..
적이 달려가지 않을 곳으로 나아가며, 적이 뜻하지 않은 곳으로 달려간다. (‘손자병법’ ‘허실편’.) 이것은 진격 작전에서 중요한 원칙의 하나다. 적이 빨리 구원 할 수 없는 곳, 즉 허점을 쳐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적이 예기치 못한 곳으로 진군하라는 것이다. 이는 손자가 말한 “적의 무방비한 곳을 공격하고 적이 뜻하지 못한 곳을 노려야 한다”를 구체화한 것이다. 이것은 공격의 돌발성을 강조하는 말이다. 즉, 교묘한 전법으로 적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시기와 지..